미국 주식 투자 전략 중 buy&hold만 고집했었지만 유명 블로거들과 경제 유튜버들의 얘기들을 듣고 다양성을 주기로 결심했다. 무엇보다도 buy&hold 전략으로는 시장을 이길 수 없을뿐더러 은퇴 자금 목표 금액에 가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현재 3가지 전략을 실행 중이다.
1. 연평균 수익률 10~15%의 듀얼모멘텀 전략.
첨부 사진의 경우 매달 50만원씩 납입으로 백테스트를 돌린 사진이다. 실제로도 현재 매달 50만 원씩 추가 납입하여 전략을 실행 중이다. 수익률이 29% ㄷㄷㄷ
2. 올웨더포트폴리오
아무리 미국주식이 '우상향' 한다고 하지만 '내가 은퇴하는 시기에 주식장이 폭락하면 어쩌지?'라는 고민 끝에 찾은 해결책이다. 전략의 내용은 국채, 회사채, 원자재, 금, 물가연동채, 전 세계 주식 등을 각각의 특정 비율로 가져가는 건데 기대수익률은 5~8% 정도 되며 전고점을 그 어떤 자산관리 전략보다 빠르게 회복했다. 원리는 간단하다. 주식이 떨어질 때 채권이 상승해서 주식 하락분을 방어해주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주식과 채권이 약할 때는 원자재(원유 금 등등)들이 상승해서 보호해준다. 결국 가치가 상승하는 자산들로 가지고 있으면 서로 + - 가 상쇄되며 우상향을 그린다.
3. 절세 전략
절세전략으로 두가지 플랫폼을 사용 중이다. 하나는 올웨더 포트폴리오를 연금저축 계좌에서 실행하고 있다. 결국 연말 정사 시 세액공제받은 60만 원가량을 재투자한다면 7%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변액보험이다. 변액보험 플랫폼을 이용하면 20년 뒤에 상승한 내 자산을 정리하더라도 모두 비과세니 세금 15% 수익을 먹고 들어간다.
세금을 아낀다는 개념을 세금 수익률로 이해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오래 걸렸는지 모른다.
그리고 화폐의 가치는 계속 변한다는걸 진즉부터 알고 있었으면서 자산가치가 우상향 한다는 걸 20대 내내 왜 몰랐는지 모르겠다. 이 글을 읽으시는 20대가 계신다면 절세와 우상향 하는 자산과 그 원리에 대해서 꼭 공부하시길 바란다.
내 아이에게는 경제와 회계 자본주의와 부채를 꼭 가르치고자 한다.
'자본주의 투자백서 > 자산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A 전략] 미국 실업률 12개월 이동평균과 SPY 200일 이동평균 확인하는 방법 (2) | 2020.10.23 |
---|---|
SPTL 매도 이후 QYLD 매수 [채권을 이용한 자산관리 전략] (0) | 2019.10.04 |
[재테크 노하우, 재테크 방법 6] 연금 저축 그리고 피해야 하는 상품 1 (0) | 2019.09.18 |
[미국주식] ITOT와 TLT(SPTL) 번갈아가며 매수하기. (feat 하락장?recession? 두려워하지 마세요.) (0) | 2019.09.11 |
[재테크 노하우, 재테크 방법 5] 8% 금리의 적금과 똑같은 미국주식. 원리 및 설명 (0) | 2019.09.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