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3 팔과 손의 무감각 현상, 골반과 다리에 무감각 힘빠짐. 환자 개요 나이 : 50대 초반 직업 : 주부 주 활동 : 집안 일 증상 : 팔과 손의 무감각 현상, 목 어깨 주변부 통증, 허리 및 골반 통증 밑 다리 무감각 총 방문 횟수 : 7회 소개로 오셨던 고객분이었는데 처음 오셨을 때는 증상을 팔과 손의 무감각(힘이 점점 빠짐)만 말씀하셨음. 그런데 하나씩 하나씩 관찰하고 평가할 수록 목과 어깨의 통증과.. 최근에 발견한 것은 허리, 골반 다리 하체 주변부의 무감각 또한 있던 환자. 본인의 불편한것들을 처음엔 다 얘기 안하다가 차츰 좋아지시는걸 느끼고 내가 여러 추궁(?)아닌 추궁을 하니 하나씩 증상을 더 얘기 했던 고객 엉덩이 주변부 그리고 하체의 무감각 얘기와 화장실을 갔을 때 대소변 볼 때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고 얘길 하셨다. 이 증상만 보고 처음엔 .. 2020. 5. 10. SPTL 매도 이후 QYLD 매수 [채권을 이용한 자산관리 전략] 어머니의 노후 연금 작업을 진행중이다. 한달전? SPTL이 39$ 일때 20주 가량 급하게 매입하였었다. 어제 수중에 현찰이 없는 상황이고 QYLD가 22$ 초반까지 내려오길래 급하게 SPTL 매도 후 QYLD를 매수하였다. 채권과 주식은 서로 반대로 움직인다. 이를 이해하고 계시는 분들은 변동성이 심한 장에서 융통성 있게 움직이실 수 있을 것이다. 어제 망설이는 바람에 SPHD 40$ 후반에 매입할 수 있었는데 그 기회 놓치고, 뭐 아휴 말해서 뭐하나. 어쨋든 채권과 주식의 관계를 아시는 분들은 전략을 잘 활용하시길. 누가 주식이 위험하다고 말했나... ㅎㅎ 물론 대한민국주식 말구 ㅎㅎ 여기서 더 나아가 좀 더 안전성을 추구하고 싶다면 포트폴리오 중 일부에 금을 편입 하셔도 좋다. 2019. 10. 4. 19년 9월 30일 BAC, SPHD, DGRO, ITOT 배당 2019. 10. 4. [재테크 노하우, 재테크 방법 6] 연금 저축 그리고 피해야 하는 상품 1 선 요약 1.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때문에 꼭 가입해야 하는 자산 관리 상품이다. 2. 그런데 연금저축 상품 종류가 정말 많다. 3. 15~20년 이상 납부하는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올라가는 상품을 골라야 한다. 4. 성향차이지만 2% 이자의 연금저축 상품을 살것이냐, 아니면 그 이상의 이자를 주는 연금저축 상품을 살것이냐 고민해보라. 운 없으면 120살까지 살아야 하는 현대인들. 경제적인 문제는 먹고사는 문제이며 노후를 위한 경제적인 준비가 없다면 노후의 삶은 정말 비참할 것이다. 건강이야 젊을 때부터 운동하면 된다 치자. 그런데 금전적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것일까. 국민연금을 믿고 있는 바보가 아직도 있는 건? 국민연금을 믿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글을 읽어보지도 않을 것이다... 2019. 9. 18.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