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테크노하우10 SPTL 매도 이후 QYLD 매수 [채권을 이용한 자산관리 전략] 어머니의 노후 연금 작업을 진행중이다. 한달전? SPTL이 39$ 일때 20주 가량 급하게 매입하였었다. 어제 수중에 현찰이 없는 상황이고 QYLD가 22$ 초반까지 내려오길래 급하게 SPTL 매도 후 QYLD를 매수하였다. 채권과 주식은 서로 반대로 움직인다. 이를 이해하고 계시는 분들은 변동성이 심한 장에서 융통성 있게 움직이실 수 있을 것이다. 어제 망설이는 바람에 SPHD 40$ 후반에 매입할 수 있었는데 그 기회 놓치고, 뭐 아휴 말해서 뭐하나. 어쨋든 채권과 주식의 관계를 아시는 분들은 전략을 잘 활용하시길. 누가 주식이 위험하다고 말했나... ㅎㅎ 물론 대한민국주식 말구 ㅎㅎ 여기서 더 나아가 좀 더 안전성을 추구하고 싶다면 포트폴리오 중 일부에 금을 편입 하셔도 좋다. 2019. 10. 4. [재테크 노하우, 재테크 방법 6] 연금 저축 그리고 피해야 하는 상품 1 선 요약 1. 연금저축은 세액공제 때문에 꼭 가입해야 하는 자산 관리 상품이다. 2. 그런데 연금저축 상품 종류가 정말 많다. 3. 15~20년 이상 납부하는 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올라가는 상품을 골라야 한다. 4. 성향차이지만 2% 이자의 연금저축 상품을 살것이냐, 아니면 그 이상의 이자를 주는 연금저축 상품을 살것이냐 고민해보라. 운 없으면 120살까지 살아야 하는 현대인들. 경제적인 문제는 먹고사는 문제이며 노후를 위한 경제적인 준비가 없다면 노후의 삶은 정말 비참할 것이다. 건강이야 젊을 때부터 운동하면 된다 치자. 그런데 금전적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 것일까. 국민연금을 믿고 있는 바보가 아직도 있는 건? 국민연금을 믿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글을 읽어보지도 않을 것이다... 2019. 9. 18. [미국주식] [기업분석] 크래프트 하인즈KHC 2019년 9월 분석. 반등의 때가 언제인지 분석해보자. [소음과 투자]에서 리처드 번스타인은 시간이 리스크를 줄여주며 포트 내 자산 가격을 확인하는 주기는 1년 단위가 좋다고 말했다. 존 리 대표는 주식은 파는것이 아니라 사서 모으는 것이라고 말했다. 워렌 버핏은 주식을 산다는 것은 기업의 일부를 산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주식이라는 자산 시장에 참여한지는 10개월밖에 안됐지만 3개월쯤부터는 수익률을 아예 확인하지 않고 있다(수익률이 좋아서 그럴지도). 오히려 00년도 it 버블 때나 08년도 서브프라임 사태 때 같은 시장 폭락이 오길 바랄 때가 많다. 가장 큰 이유는 포트 내에 절반 이상이 ETF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에 참여한 이후 가장 큰 실수 중 하나가 KHC인데 이 KHC를 언제 팔아야 할지 물타기를 한다면 언제 할 것인지 각을 미리 잡아.. 2019. 9. 14. [미국주식] ITOT와 TLT(SPTL) 번갈아가며 매수하기. (feat 하락장?recession? 두려워하지 마세요.) 미국주식 투자 일지 포트폴리오의 위력 (feat. TLT와 SPTL) 그리고 ITOT 사진은 S&P500 대표 ETF인 SPY와 미국장기국채ETF인 TLT의 백테스트 사진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둘이 반대로 움직입니다. 만약 03년도부터 투자를 했고 포트폴리오 구성을 SPY와 TLT를 5:5로 했을 경우 어떻게 됐을까요? 사진 그래프로 보니까 조금 헷갈리죠? 좀 더 깔끔하게 그려보겠습니다. SPY와 TLT를 5:5로 구성했을 경우 붉은색 그래프의 모양을 보여줍니다. 5:5로 구성할 시에 시장을 이기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하락장에서는 뚜렷하게 강한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평상시 시장의 분위기가 좋을 때는 SPTL(TLT)는 가격이 하락합니다. 우리는 시장이 좋을 때 시장 종목만 매수하는것이 아니라 채.. 2019. 9. 1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